간호대 강의 PK/PD 2016.03.04 배균섭

  • Ka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변수로 거리 먼것? 5 GFR
  • 폭로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거 AUC
  • 반감기 항정상태 계산에 도움
  • 조직결합+혈장단백 분포용적에 도움.
  • 초회통과는 경구투여
  • 위배출빠르면 오히려 Ka증가
  • 비선형적아닌거 ibuprofen (acet/ibuprofen/DPH/alcohol/carbamazepine)
  • 청소율 감소 간경변/신부전/대사효소억제/대사율증가/경쟁적상호작용 (대사율 증가는 청소율 증가?)
  • Ka-흡수부위혈류,위배출,장운동,흡수면적
  • 생체이용률F-위배출,위산,가수분해효소,장운동
  • CLh-간혈류량,단백결합,간효소대사능
  • CLr-신혈류량,단백결합,GFR,재흡수,뇨산도,뇨량
  • 분포용적-단백결합,조직결합,지방분포,수분분포,체중,신장
  • 반감기 4배지나야 항정상태 도달.
  • 분포용적 크거나 청소율 낮으면 반감기 길다. (Digoxin 분포용적 500, 청소율 Loading dose = Vd, maintenance dose = CL)
  • 조직에 많이 분포하면 분포용적 크고, 반감기 길다.
  • ~ mab Monoclonal antibody
  • 분자량이 크거나 알부민 결합하기 때문에 혈관내 주로 분포약물은 분포용적 매우 작고, 반감기는 짧다.
  • 제조회사마다 다른건 F, Ka
  • Ka | 크면 빨리 흡수. Adalact (nifedipine) TID에서 QD로 바꾼다.
  •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-유사한지 본다. Bioequivalence시험 통과.

  • F | 일반적으로 F가 높은게 좋다.

  • 마약을 정맥으로 투여하는 이유.
  • 높으면 약물의 개체차이가 적다. -F낮으면 Interindividual variation 크다. 농도가 예측 가능하다..

  • CLhepatic | Free drug 없으면 albumin-bound drug 이 빨리 release된다.

  • 간경변,간암 간청소율 떨어짐.
  • 간경변-알부민 감소분포용적=체내존재량/혈장농도 ->hypoAlb때문에 분포용적 증가/청소율 감소한다.
  • CL낮고 반감기 증가.
  • CYP효소는 독성물질 제거하는 역할

  • CLrenal | 크레아티닌,이눌린

  • 뇨의 산성도에 따라 청소율 달라져. 이를 조절하기도..

  • 분포용적의 의미 Vd |

  • 잘 안붙는 약물은 리튬

  • AUC는 F와 비례함. dose보다는 인체의 약물에 대한 폭로 정도를 나태내

  • Ke=CL/Vd
  • Loading dose=Vd*Ctarget
  • Maintenence=CLss*Css
  • Compartmental vs NonCompartmental(NCA)
  • Compartmental CL,Vd,F,Ka C(t)=A1e(-람다1t)+A2e(-람다2t) polyexponential, mamillary
  • NonCompartmental AUC, Cmax, Tmax, MRT, F
  • Cmax 항생제-
  • Tmax 빨리 효과나타나야하는 약물 (서방형은 천천히)
  • Mean Residence Time 약물한분자가 체내 머무르는 시간
  • Carb,고용량acet,alcohol.phenytoin 비선형적 // alc (8g/hr씩 없어져 술꾼은 39g/hr로 오름.)
  • Ibuprofen
    1. alcohol [dehyd] 2. acetaldehyde(Toxic, 혈관확장, 금방빨개진다) [aldehyde dehyd] 3. acetic acid 소변으로 잘 나온다.
  • 비선형적 약동모델
  • Steady state : in=out
  • Equilibrium : Flow12=Flow21
  • Pseudoequilibrium In,out << flow12,flow21 보통은 distribution이 더 빠르다.
  • 흡수 붕해(disintegration)->용출(dissolution)->장점막투과(permeation)->초회통과효과(first pass effect)
  • Lag time & Zero order absorption
  • 붕해+용출 : 품질관리에서 중요
  • 장점막통과 수동적 투과 Fick’s law(diffusion과 관련), 포화(saturation)현상 : 운반체매개, 능동적흡수
  • P-glycoprotein(PGP) Product of MDR1
  • 초회통과효과 생체이용율의 최대치 = 1-초회통과시 추출율
  • 초회통과가 큰 약물:BB,CCB,IV마약류
  • 피하기 위하 투여 : Sublingual NTG, 패취, 좌제 직장투여,
  • 아달락트설하정(BB) 의미없다
  • 제형(Formulation)
  • 일반형,속방형(Immediate release), Extended release
  • F 생체이용율 변화 증가: 간경변(초회통과효과 감소), 소장운동 감소, 장점막 손상, 음식섭취로 인한 용해도 증가 (Phenytoin, griseofulvin, itraconazole)
  • 감소:L-tube, 장용정 분쇄, 장관절제, 제산제, 식사, 적은물
  • 대사 Metabolism 간,장점막,신장,피부 | Michaelis-menten Km value가 C에 비해 높다. 만약 작다면 간이 자기 능력을 허덕되며 써야함. 독하다는 말. dC/dt=Vmax*C/(Km+C) Km이 C에 비해 높기 때문에
  • 주요대사효소 CYP450 동물과 다른점. 먹는게 다르다. 인종간 다른점.
  • EM vs PM (CYP2D6 대사 빨리)
  • CYP2C19 Poor metabolizer : 동양인>20%, 서양인 <5% Diazepam (Extensive metabolizer)
  • 대사효소 유도/억제 | 유도제 rifampin,phenobarb,탄음식,담배(약발잘안들어)
  • 억제제 자몽쥬스,itraconazole,ketoconazole,cimetidine | auto-induction carbamazepine
  • 코데인pro-drug 체내에서 몰핀으로 바뀐다.
  • 연령성병체중serum cr. Cockcroft-gault
  • Once daily AGS-Peak높임. Trough낮춤.
  • 약동학적 비선형성 |
  • linear PK dose두배로하면 Css두배로
  • nonlinear PK phenytoin (TDM해야함)

간호대 강의 16.03.11 임형석

  • CYP3A4/5/7 가장 많다
    • NAT2 isoniazid, procainamide
    • CYP2C9 S-Warf, losartan, phenytoin, tolbutamide
    • CYP2C19 Diazepam, omeprazole, proguanil
    • CYP2D6 antidepressants, neuroleptics, antiarrhythmics
    • TPMT 6MP, azathioprine
  • Genotype 가지면 intermediate metabolizer phenotype을 가질 수 있어.
    • FDose = AUC CL (FDAC)
  • Sterns V et al 2003
    • Metabolic pathway of tamoxifen in human
    • Tamox -(CYP2D6)-> Z-4 hydroxy Tamoxifen
    • N-desmethyl-tamoxifen -(CYP2D6)-> endoxifen
  • Clinical benefit
    • CYP2D610/10
    • Genotype이 treatment effect에 영향을 미친다.
    • Shorter TTP in patients with CYP2D610/10 than those with the other genotypes
  • Azathioprine 6MP 6thioguanine nucleotides(부실재료여서 cancer cell이 죽는다) TPMT에 의해 대사.
  • CYP2C9 Warf
    • Clopidogrel -(CYP2C19)-> clopidogrel active metabolite
  • Statin pharmacogenomics
  • Gefitinib(Iressa, Kinase inhibitor) and EGFR mutations in tumor
  • Personalized medication in the future Alastair -> GeneChip Analys